선물계약 옵션은 특정 만기일 또는 이전에 특정 가격으로 특정 선물 계약을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되 의무는 아닙니다.
자신이 다니는 회사가 다른 도시로 이전하게 되어 이사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가정해 보세요.
새 도시에 집을 장만할 수 있지만 자본 활용 면에서 최선의 선택이 아닐 수 있습니다. 그리고 회사가 이전을 포기하면 필요 없는 집을 산 꼴이 됩니다.
하지만 새 도시에 집을 살 수 있는 옵션을 매수할 수 있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주택 주인에게 주택을 매수할 "권리"에 대한 대가를 지불해야 하겠죠. 그러한 권리의 가치를 옵션 프리미엄이라고 합니다.
회사가 실제로 이전하면 미리 지정한 가격에 해당 주택에 대한 매수권을 행사합니다. 회사가 이전하지 않으면 그냥 주택 매수 권리를 행사하지 않거나 포기하면 됩니다. 그럴 경우, 해당 주택의 주인이 옵션 프리미엄을 갖게 됩니다.
선물 옵션도 기본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거래 조건이 더 표준화되어 있으며 추가의 유연성과 함께 가격을 확정 지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선물 옵션을 매수할 때는 우선 프리미엄을 지급하고 해당 선물 계약을 지정한 가격에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게 됩니다.
지정된 가격에 옵션을 행사하여 해당 선물 계약을 수령할 ‘책임’은 없습니다.따라서 가격이 자신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움직이면 해당 계약을 행사하지 않을 옵션을 가집니다.
모든 옵션 거래에는 반드시 매수자와 매도자가 있어야 합니다.
매수자는 매도자에게 프리미엄을 지급하고 매도자가가 가격 변화에서 비롯되는 리스크를 감당합니다.
따라서 선물 옵션 매수자와 매도자는 자신의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들이 가능한 한편, 시장에 대한 자신의 시각을 표현하거나 가격 리스크도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