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시스는 선물계약과 현물지수와 가격 차이입니다. 일반적으로 주가지수선물 베이시스를 선물가격에서 현물지수값을 뺀 것으로 표현합니다.
베이시스가 중요한 이유 : 주가지수선물은 재산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주가지수선물은 주식 실물증권의 지수가 보유하는 것과 똑같은 소유권과 소득의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가지수선물은 그 주가지수의 현물 또는 현금가치에 동일한 가격수준으로 거래되기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주가지수선물계약과 그 기초현물지수 간의 베이시스는 배당소득 및 자금조달 금리와 같은 요인들에 따라 플러스일 수도 있고 마이너스일 수도 있습니다.
주가지수선물계약과 그 기초현물지수 간의 베이시스는 배당소득 및 자금조달 금리와 같은 요인들에 따라 플러스일 수도 있고 마이너스일 수도 있습니다.
베이시스를 완전히 이해하려면 보유비용이라는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투자포지션을 가지는 것과 관련하여 수 많은 비용요인이 있습니다. 요인들 중에는 (이자와 같은) 자금조달 비용과 (기회 비용과 같은) 경제적 비용이 포함됩니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주가지수선물은 재산이 아니므로 (배당금을 수령하는 것과 같은) 소유권으로부터 오는 권리가 없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배당금의 금융적 가치, 즉 기회비용이 주가지수선물 계약의 가격에 반영됩니다.
(조달 비용으로 나타나는) 단기금리가 현물지수의 배당수익률보다도 낮을 때에는 보유비용은 양이라고 말합니다.
예를 들면, 현재의 단기금리가 0.65%이고 S&P 500 지수의 배당수익률이 대략 2.00% 수준이라면 보유비용은 플러스, 즉 양이 됩니다.
예를 들면, 현재의 단기금리가 0.65%이고 S&P 500 지수의 배당수익률이 대략 2.00% 수준이라면 보유비용은 플러스, 즉 양이 됩니다.
이는 2.00%의 배당금 수입이 자금조달 비용 0.65%보다도 더 크기 때문입니다. 선물가격은 이러한 경제적 현실을 반영하는데 현물지수에 대한 가격의 할인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제 어느 특정일에, 2016년 9월 만기 E-mini S&P(에스앤피) 500 선물(ESU6)의 가격이 2,187.75 이고 S&P 500 현물지수의 가격이 2,188.51 포인트라고 해 봅시다. 차이, 즉 2,187.75 빼기 2,188.51은 마이너스 0.76포인트가 베이시스입니다. 선물이 현물 대비 할인되어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는 보유비용이 양이기 때문입니다.
선물과 현물 간의 가격 스프레드, 즉 베이시스는 돈의 시간가치의 함수를 포함합니다. 즉, 배당금 수입의 할인 금액은 계약이 만기에 가까이 갈수록 점점 더 작아집니다. 그리고 선물과 현물이 같은 가치로 결제되는 순간 완전히 사라집니다.
요약하면 베이시스는 현물과 선물 가격간의 가격 차이입니다.
주가지수 상품의 경우에는 선물가격이 현물에 비하여 할인되어 거래되는지 할증되어 거래되는지 결정하는 보유비용에 대한 감안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베이시스 부분은 배당금 수입 대비 조달비용의 결과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이것은 고려 대상 지수나 섹터 선물계약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