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 동안 중국의 산업화에 따라 원자재의 “슈퍼사이클” 기간 동안 구리 공급량이 증가하여 왔습니다. 세계의 구리 광산으로부터의 공급량은 중국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1994년부터 2014년까지 두 배로 증가하였습니다. 구리 시세는 중국 경제의 성장속도와 밀접한 관련을 보이고 있습니다.
광산업체들은 2003년 이후 원가 절감에 나섰는데, 수요가 감소할 경우에는 생산원가의 절감이 수익성을 유지할 길이었기 때문입니다. 원유 가격이 2014년 6월에 배럴당 $115에서 2016년 2 월에는 $35불 이하로 붕괴하면서 구리 역시 광산업체 및 제련업체의 에너지 소비가 많기 때문에 시세가 하락하였습니다.
구리 생산국의 통화는 2013년 대비 2014년에는 10.4%가 절하되었으며 2014년에서 2015년 사이에는 13.4%가 하락하였습니다(USGS, Bloomberg, CME 그룹). 이에 따라 인건비도 하락하였을 것입니다.
구리는 산업용 및 상업용으로, 전자 및 배관으로부터 발전까지 광범위하게 쓰이며, 경제의 건전성에 대한 신뢰성 있는 선행지표로 간주됩니다. 구리는 글로벌 경제의 전환점에 대한 예측력 때문에 종종 “닥터 구리”라고 불립니다.
구리 수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으로는 정부의 지원을 받는, 구리 소비가 많은, 송전인프라 및 가전 보조금 제도와 전기차 장려 정책 등이 있습니다. 높은 가처분소득을 갖춘 도시인구의 증가는 건축, 가정용 및 소비자 전자제품의 수요를 증가시킵니다.
알루미늄 생산
중국은 세계 최대의 알루미늄 생산국으로서 국제알루미늄연구소(International Aluminium Institute)의 통계에 따르면 세계의 2016년 총 생산량 5,800만 미터톤 중 5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출처 : International Aluminium Institute
알루미늄은 보크사이트(알루미늄광)를 전기분해하여 생산됩니다. 호주는 세계 1위의 보크사이트 생산국이며 중국과 브라질이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보크사이트는 채굴되어 분쇄되고 정제되는 과정을 거치며 실리콘 불순물이 제거됩니다
산화알루미늄의 보통 이름인 알루미나는 보크사이트로부터 추출됩니다. 알루미나는 알루미늄으로부터 Hall-Héroult 전기분해 처리를 통한 제련을 거쳐 추출됩니다. 여기에는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련소는 종종 수력발전소 부근에 위치합니다.
1차 알루미늄은 그 다음에는 알루미늄괴인 잉곳으로 주조되거나 합금으로 사용됩니다.
알루미늄은 품질이 균질한 커모더티 상품으로서, 모든 품질조건이 부합한다면, 거래소 승인 창고업체에 인도될 수 있습니다.
출처 : Australian Aluminium Council
알루미늄 시장 펀더멘털
알루미늄 생산은 지난 15년 동안 중국으로 무대가 옮겨 갔습니다. 이 기간 동안, 수요는 9배가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중국은 알루미늄의 생산국인 동시에 소비국입니다. 현재 세계 알루미늄은 공급 초과 상태로서 글로벌 시세가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알루미늄 생산에는 엄청난 양의 전력이 필요합니다. 중국의 많은 제련소는 전력망에 직접 연결되어 중국의 전력 사정이 어려운 지역에서 우선적인 전력 수요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알루미늄 생산은 단순히 한 가지 목적만을 가지지 않습니다. 즉, 국내 시장에 철을 제공하며, 격오지인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고, 많은 지방에 일자리와 경제성장을 제공합니다.
중국의 생산원가는 2016년초에 미터톤 당 약 $1,550이었으며 생산업체의 35%가 손실을 내고 있었습니다.
알루미늄 시장의 지역별 차이는 중국과 현재 구조적 적자를 보이고 있는 미국을 비교해 보면 명확해집니다.
알루미늄 생산업체들은 가격 하락과 재고량 폭증에 대응하여 생산량을 줄이고 비효율을 제거하는 노력을 거쳐 구리 생산업체들보다는 사정이 나았습니다.
갈수록 알루미늄 의존이 심화되는 자동차 산업의 수요와 송전인프라 투자 및 주택 개발, 가전 제조 등은 알루미늄 수요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자동차 생산에 포드사의 F-150모델과 같이 철을 알루미늄으로 대체하는 사례가 수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반면, 알루미늄은 북미 지역 캔 재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탄산소다음료의 소비 감소에 따라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