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참여자들이 가격 리스크를 헤지하거나 가격결정 기회로부터 이익을 얻고자 할 때, CME 그룹의 다양한 파생상품 조합을 이용한다면 여러 실물상품의 변환으로 인한 금융적 특성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습니다. ‘크러쉬(crush)’라는 표현은 매입한 대두를 으깨어 그 부산물인 대두박과 대두유로 판매하는 대두가공 용어에서 나왔습니다. 대두를 으깨는 과정에서 원료는 다른 형태의 상품들로 바뀌게 됩니다. 소 사육 과정의 경우 여러 인풋이 하나의 아웃풋 상품으로 바뀐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한 예로 비육장 운영자들은 비육용 송아지를 매입한 후 비육과정을 시작합니다. 그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도축시기가 된 비육우를 매도합니다. 소 사육 스프레드는 비육장 운영의 경제 모형이 되며 수익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본 글에서는 이른바 ‘소 사육 스프레드(cattle feeding spread)’ 또는 ‘캐틀 크러쉬(cattle crush)’의 맥락에서 육우 사육 과정의 개념 및 운영과 관련한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